헬레니즘 문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레니즘 문명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그리스 문화가 오리엔트 지역에 확산된 시기를 지칭하며,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망부터 기원전 30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의 멸망까지 약 300년 동안 지속되었다. 헬레니즘은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의 융합을 통해 학문, 예술, 종교,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으며, 유럽 문명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로마의 등장으로 헬레니즘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지만, 헬레니즘 문화는 로마 제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헬레니즘화(Hellenization)는 그리스 문화의 확산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헬레니즘 왕국들을 통해 그리스의 영향이 퍼진 것은 분명하지만, 그 범위와 이것이 의도적인 정책의 결과인지 아니면 단순한 문화 전파의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그의 제국은 후계자(디아도코이) 간의 분쟁으로 분열되었다. 멜레아거스와 보병대는 필리포스 아리다이오스를, 페르디카스는 알렉산드로스 4세를 지지했다. 타협을 통해 아리다이오스와 알렉산드로스 4세가 공동 통치하고 페르디카스가 섭정이 되었으나, 페르디카스는 곧 권력을 장악하고 반대파를 제거했다.[24]
2. 개념 정의와 비판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100년 동안의 완전한 역사적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헬레니즘 시대의 주요 역사가들인 카르디아의 히에로니무스, 사모스의 두리스, 필라르쿠스의 저작들은 유실되었지만, 현존하는 1차 사료에서 사용되었다.[20] 헬레니즘 시대의 가장 초기 자료는 폴리비오스의 ''역사''인데, 기원전 220년부터 167년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다. 폴리비오스 다음으로 중요한 자료는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의 ''역사총서''이다.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은 중요한 헬레니즘 인물들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알렉산드리아의 아피아누스는 로마 제국의 역사를 썼으며, 여기에는 일부 헬레니즘 왕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다른 자료로는 유스티누스의 폼페이우스 트로구스의 ''필리피카 역사'' 요약본과 콘스탄티노플의 포티오스 1세에 의한 아리아누스의 ''알렉산드로스 이후의 사건들'' 요약본이 있다. 덜 중요한 보조 자료에는 쿠르티우스 루푸스, 다마스쿠스의 파우사니아스, 대 플리니우스, 수다 사전 등이 있다. 철학 분야에서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철학자 열전''이 주요 자료이며, 키케로의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도 참고할 만하다.
19세기 학자들은 헬레니즘 시대를 고전 그리스의 문화적 쇠퇴기로 보았다. 그러나 현대에는 이러한 비교가 불공정하고 무의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리스 폴리스의 쇠퇴와 군주 국가의 수립으로 인해 사회적 자유가 줄어들었다는 지적도 있다.[168]
윌리엄 우드소프 턴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인종 및 문화적 대립과 식민 통치에 초점을 맞췄다. 미하일 로스토프체프는 그리스 통치 지역에서 자본주의 부르주아지의 부상에 집중했다. 아르날도 모밀리아노는 피정복 지역에서 인종 간의 상호 이해 문제를 연구했다. 모세 하다스는 문화 종합에 대한 낙관적인 모습을 그렸으며, 프랭크 윌리엄 왈뱅크는 계급 관계에 초점을 맞춘 유물론적 접근 방식을 취했다. 최근 파피루스학자 C. 프레오는 경제 시스템, 왕과 도시 간의 상호 작용에 집중하며 비관적인 견해를 제시하는 반면, 피터 그린은 개인주의, 관습 붕괴 등에 초점을 맞춘다.[169]
2. 1. 고대 오리엔트 문화와의 융합
헬레니즘 문화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으로 전파된 그리스 문화가 오리엔트 문화와 융합하여 탄생한 문화를 말한다. 19세기 독일의 역사학자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은 마케도니아의 폴리스 정복 이후 시대를 조명하고, 이 시기를 헬레니즘이라 칭하며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16] 드로이젠의 연구 이전까지 이 시대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그의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자들이 헬레니즘 시대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2. 2. 시대 구분으로서의 헬레니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망(기원전 323년)부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의 멸망(기원전 30년)까지 약 300년 동안을 '''헬레니즘 시대''' ('''Hellenistic period''')라고 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한 후 사망하자, 그의 제국은 부하들에 의해 쟁탈, 분할되었다. 이들, 그리고 거기서 파생된 여러 나라를 헬레니즘 제국이라고 한다.
이들 나라는 동지중해에서 오리엔트 지역을 지배하며 그리스풍의 "헬레니즘 문화"를 유지·발전시켰지만, 차츰 로마 공화정이 동쪽으로 진출하면서 멸망했고, 마침내 기원전 30년, 마지막 헬레니즘 왕조였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가 로마에 병합되었다. 이로 인해 헬레니즘 시대는 끝났다고 여겨진다.
2. 3. 유럽 문명의 원류
19세기에 매슈 아놀드는 유럽 문명의 기조를 히브리즘(유대교, 기독교)과 헬레니즘에서 찾는 견해를 제시했다.[17][18] 이후 이러한 견해는 유럽 문명을 설명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역사
바빌론 분할에서 페르디카스를 지지한 장군들은 제국의 각 지역을 사트라프로 다스리게 되었지만, 페르디카스의 위치는 불안정했다.[25] 첫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은 페르디카스가 마케도니아의 클레오파트라와 결혼하려 하고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안티파트로스, 크라테로스, 리시마코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원을 받은 반군은 에우메네스에게 패배했지만, 페르디카스는 이집트 침공 중 부하들에게 살해되었다.[26]
트리파라디수스 조약을 통해 안티파트로스가 섭정이 되고, 안티고노스, 프톨레마이오스, 리시마코스, 셀레우코스가 각각 소아시아, 이집트, 트라키아, 바빌론을 통치하게 되었다. 안티파트로스 사후 폴리페르콘이 섭정이 되면서 두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이 발발했다. 카산드로스는 폴리페르콘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마케도니아를 장악한 후 알렉산드로스 4세와 그의 어머니를 사로잡았다.
세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은 안티고노스의 세력 확장에 대한 견제로 시작되었다. 안티고노스는 페니키아를 침공하고 티레, 가자 시를 포위했다. 가자 전투에서 데메트리오스 1세가 패배하면서 셀레우코스 1세가 바빌로니아와 동부 사트라프를 장악했다. 기원전 310년,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4세와 록사네를 살해하여 아르게아스 왕조를 끝냈다.
데메트리오스는 아테네를 점령하고 파레론의 데메트리오스를 추방했다. 살라미스 해전에서 승리한 후 안티고노스와 데메트리오스는 왕(basileus) 칭호를 얻었고, 다른 디아도코이도 이를 따랐다.[28]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가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데메트리오스는 그리스로 도망쳤다.
카산드로스 사후, 데메트리오스는 마케도니아를 침략하여 왕위를 빼앗았으나, 리시마코스와 에피루스의 피로스의 침략으로 패배했다. 코루페디움 전투에서 리시마코스가 패배하고 사망한 후,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가 셀레우코스를 암살했다. 갈리아인들의 침략으로 마케도니아가 혼란에 빠졌을 때,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가 갈리아인들을 격파하고 마케도니아의 왕이 되었다.[31]
이 시점에서 헬레니즘 시대의 삼자 구도가 형성되었다. 주요 강국은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의 마케도니아,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의 셀레우코스 제국이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주요 왕국 외에도 그리스의 영향권이 넓었다. 에페이로스 왕국은 그리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시칠리아와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로마에 정복되기 전까지 독립을 유지하며 그리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소아시아의 폰토스와 카파도키아는 그리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동쪽 변경에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과 인도-그리스 왕국이 있었다. 인도-그리스 왕국은 헬레니즘의 확산을 촉진했으며, 헬레니즘 문화와 불교 문화가 결합하여 간다라 미술이 나타났다.
3. 1.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건설과 분열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페르시아 제국 전체를 정복하고 페르시아 왕 다리우스 3세를 전복했다.[23] 정복된 영토에는 소아시아, 아시리아, 레반트,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메디아, 페르시아, 그리고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앙아시아의 스텝 일부가 포함되었다.[23] 그러나 끊임없는 원정은 결국 대가를 치르게 되었고, 알렉산드로스는 기원전 323년에 사망했다.[23]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후계자를 정하지 않고 사망하자(기원전 323년 6월 10일), 그의 장군들 사이에서 누가 마케도니아의 왕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분쟁이 일어났다.[24] 이 장군들은 디아도코이(Διάδοχοι|Diadokhoi|grc "계승자"라는 뜻)로 알려지게 되었다.[24]
멜레아거스와 보병대는 알렉산드로스의 이복 형제인 필리포스 아리다이오스를 지지했고, 선두 기병 지휘관인 페르디카스는 록사네가 낳은 알렉산드로스의 아이가 태어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을 지지했다.[24] 타협이 이루어져 아리다이오스(필리포스 3세)는 왕이 되어 록사네의 아이와 공동 통치하게 되었고, 그 아이가 남자아이일 경우(알렉산드로스 4세)가 되었다.[24] 페르디카스 본인이 제국의 섭정이 되고 멜레아거스는 그의 부관이 되었으나, 곧 페르디카스는 멜레아거스와 다른 보병 지도자들을 살해하고 완전한 통제권을 얻었다.[24]
페르디카스를 지지했던 장군들은 바빌론 분할에서 제국의 여러 부분을 사트라프(총독)로 만들면서 보상을 받았지만,[24] 페르디카스의 입지는 불안정했다.[25] 아리아노스가 기록했듯이 "모두가 그를 의심했고 그 역시 그들을 의심했기" 때문이다.[25]
첫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은 페르디카스가 알렉산드로스의 누이인 마케도니아의 클레오파트라와 결혼할 계획을 세우고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의 소아시아 지도력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26] 안티고노스는 그리스로 도망갔고, 그 후 안티파트로스 및 크라테로스(킬리키아의 총독이자 라미아 전쟁에서 싸우기 위해 그리스에 있었음)와 함께 아나톨리아를 침략했다.[26] 반군은 트라키아의 총독인 리시마코스와 이집트의 총독인 프톨레마이오스의 지원을 받았다.[26] 카파도키아의 총독인 에우메네스가 소아시아에서 반군을 격파했지만, 페르디카스 자신은 이집트 침공 중(기원전 320년 5월 21일~6월 19일 경) 그의 장군 페이톤, 셀레우코스, 안티게네스(아마도 프톨레마이오스의 도움을 받아)에 의해 살해되었다.[26]
프톨레마이오스는 페르디카스의 살인자들과 화해하여 페이톤과 아리다이오스를 그의 자리에 섭정으로 만들었지만, 곧 이들은 트리파라디수스 조약에서 안티파트로스와 새로운 합의를 맺었다.[26] 안티파트로스는 제국의 섭정이 되었고, 두 왕은 마케도니아로 옮겨졌다.[26] 안티고노스는 소아시아를, 프톨레마이오스는 이집트를, 리시마코스는 트라키아를, 셀레우코스 1세는 바빌론을 통제했다.[26]
두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은 기원전 319년 안티파트로스가 사망한 후에 시작되었다.[27] 자신의 아들인 카산드로스를 제쳐두고, 안티파트로스는 폴리페르콘을 섭정으로 지명했다.[27] 카산드로스는 폴리페르콘(에우메네스와 합류)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안티고노스, 리시마코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원을 받았다.[27] 기원전 317년, 카산드로스는 마케도니아를 침공하여 마케도니아를 장악하고 올림피아스에게 사형을 선고했으며 소년 왕 알렉산드로스 4세와 그의 어머니를 사로잡았다.[27] 아시아에서, 에우메네스는 수년간의 캠페인 끝에 자신의 부하들에게 배신당했고, 안티고노스에게 넘겨져 처형당했다.[27]
세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은 안티고노스의 권력과 야망이 커지면서 발발했다. 그는 마치 왕인 것처럼 사트라프를 제거하고 임명했으며, 에크바타나, 페르세폴리스, 수사의 왕실 보물을 약탈하여 25000talent를 훔쳤다.[124] 셀레우코스 1세는 이집트로 도망쳐야 했고, 안티고노스는 곧 프톨레마이오스, 리시마코스, 카산드로스와 전쟁을 벌였다.[124] 그는 이후 페니키아를 침공하여 티레, 가자 시를 포위하고 함대를 건조하기 시작했다.[124] 프톨레마이오스는 시리아를 침공하여 기원전 312년 가자 전투에서 안티고노스의 아들 데메트리오스 1세를 격파하여 셀레우코스 1세가 바빌로니아와 동부 사트라프를 장악하도록 했다.[124] 기원전 310년, 카산드로스는 어린 왕 알렉산드로스 4세와 그의 어머니 록사네를 살해하여 수세기 동안 마케도니아를 통치했던 아르게아스 왕조를 끝냈다.[124]
]]
안티고노스는 그의 아들 데메트리오스를 그리스의 통제권을 되찾기 위해 보냈다. 기원전 307년 그는 아테네를 점령하고 카산드로스의 총독인 파레론의 데메트리오스를 추방하고 도시의 자유를 다시 선포했다.[27] 데메트리오스는 이제 프톨레마이오스에게 관심을 돌려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의 함대를 격파하고 키프로스를 장악했다.[27] 이 승리의 여파로 안티고노스는 왕(basileus)의 칭호를 얻었고, 그의 아들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에게 이를 수여했으며, 나머지 디아도코이도 곧 따랐다.[28] 데메트리오스는 로도스 포위와 기원전 302년 대부분의 그리스 정복을 계속하여 카산드로스의 마케도니아에 대항하는 동맹을 결성했다.[28]
전쟁의 결정적인 교전은 리시마코스가 서부 아나톨리아의 대부분을 침략하여 점령했지만, 곧 안티고노스와 데메트리오스에 의해 프리기아의 입소스 근처에서 고립되었을 때 일어났다.[28] 셀레우코스 1세는 리시마코스를 구하기 위해 제때 도착하여 기원전 301년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를 완전히 격파했다.[28] 셀레우코스 1세의 전쟁 코끼리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안티고노스는 죽임을 당했으며 데메트리오스는 그리스로 도망쳐 통치의 잔재를 보존하려 시도하여 반란을 일으킨 아테네를 재점령했다.[28] 한편, 리시마코스는 이오니아를 차지했고, 셀레우코스 1세는 킬리키아를 차지했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키프로스를 점령했다.[28]
기원전 298년 경 카산드로스가 사망한 후, 여전히 상당한 규모의 충성스러운 군대와 함대를 유지하고 있던 데메트리오스는 마케도니아를 침략하여 마케도니아 왕위를 빼앗아(기원전 294년) 테살리아와 중앙 그리스의 대부분을 정복했다(기원전 293–291년).[29] 그는 기원전 288년 트라키아의 리시마코스와 에피루스의 피로스가 양면에서 마케도니아를 침략하여 패배했고, 재빨리 왕국을 분할했다.[30] 데메트리오스는 용병들과 함께 중앙 그리스로 도망쳐 그곳과 펠로폰네소스 북부에서 지원을 구축하기 시작했다.[30] 그는 아테네가 그에게 등을 돌린 후 다시 아테네를 포위했지만, 그 후 아테네인, 프톨레마이오스와 조약을 맺어 아나톨리아로 건너가 리시마코스의 이오니아 보유지를 상대로 전쟁을 벌일 수 있었고, 그의 아들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를 그리스에 남겨두었다.[30] 초기 성공 이후, 그는 기원전 285년에 셀레우코스 1세에게 항복해야 했고, 나중에 포로로 사망했다.[30] 마케도니아와 테살리아를 스스로 차지했던 리시마코스는 셀레우코스 1세가 소아시아에서 그의 영토를 침략했을 때 전쟁에 휘말렸고, 기원전 281년 사르디스 근처의 코루페디움 전투에서 패배하여 죽었다.[30] 셀레우코스 1세는 트라키아와 마케도니아의 리시마코스의 유럽 영토를 정복하려 했지만, 셀레우코스 1세 궁정에 피신한 후 스스로 마케도니아의 왕으로 추대된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천둥 번개")에 의해 암살되었다.[30]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는 마케도니아를 갈리아인들이 기원전 279년 침략했을 때 살해되었다.[31] 머리가 창에 꽂힌 채, 국가는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31]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는 기원전 277년 여름에 트라키아를 침략하여 18,000명의 갈리아인 부대를 격파했다.[31] 그는 즉시 마케도니아의 왕으로 추대되었고 35년 동안 통치했다.[31]
이 시점에서 헬레니즘 시대의 삼자 영토 분할이 이루어졌으며, 주요 헬레니즘 강국은 데메트리오스의 아들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의 마케도니아, 프톨레마이오스의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그리고 셀레우코스 1세의 아들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의 셀레우코스 제국이었다.[31]
3. 2. 헬레니즘 왕국의 발전과 쇠퇴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그의 제국은 후계자(디아도코이) 간의 분쟁으로 분열되었다. 멜레아거스와 보병대는 필리포스 아리다이오스를, 페르디카스는 알렉산드로스 4세를 지지했다. 타협을 통해 아리다이오스와 알렉산드로스 4세가 공동 통치하고 페르디카스가 섭정이 되었으나, 페르디카스는 곧 권력을 장악하고 반대파를 제거했다.[24]
바빌론 분할에서 페르디카스를 지지한 장군들은 제국의 각 지역을 사트라프로 다스리게 되었지만, 페르디카스의 위치는 불안정했다.[25] 디아도코이 전쟁은 페르디카스가 마케도니아의 클레오파트라와 결혼하려 하고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안티파트로스, 크라테로스, 리시마코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원을 받은 반군은 에우메네스에게 패배했지만, 페르디카스는 이집트 침공 중 부하들에게 살해되었다.[26]
트리파라디수스 조약을 통해 안티파트로스가 섭정이 되고, 안티고노스, 프톨레마이오스, 리시마코스, 셀레우코스가 각각 소아시아, 이집트, 트라키아, 바빌론을 통치하게 되었다. 안티파트로스 사후 폴리페르콘이 섭정이 되면서 두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이 발발했다. 카산드로스는 폴리페르콘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마케도니아를 장악한 후 알렉산드로스 4세와 그의 어머니를 사로잡았다.
세 번째 디아도코이 전쟁은 안티고노스의 세력 확장에 대한 견제로 시작되었다. 안티고노스는 페니키아를 침공하고 티레, 가자 시를 포위했다. 가자 전투에서 데메트리오스 1세가 패배하면서 셀레우코스 1세가 바빌로니아와 동부 사트라프를 장악했다. 기원전 310년, 카산드로스는 알렉산드로스 4세와 록사네를 살해하여 아르게아스 왕조를 끝냈다.
데메트리오스는 아테네를 점령하고 파레론의 데메트리오스를 추방했다. 살라미스 해전에서 승리한 후 안티고노스와 데메트리오스는 왕(basileus) 칭호를 얻었고, 다른 디아도코이도 이를 따랐다.[28] 입소스 전투에서 안티고노스가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데메트리오스는 그리스로 도망쳤다.
카산드로스 사후, 데메트리오스는 마케도니아를 침략하여 왕위를 빼앗았으나, 리시마코스와 에피루스의 피로스의 침략으로 패배했다. 코루페디움 전투에서 리시마코스가 패배하고 사망한 후,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가 셀레우코스를 암살했다. 갈리아인들의 침략으로 마케도니아가 혼란에 빠졌을 때,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가 갈리아인들을 격파하고 마케도니아의 왕이 되었다.[31]
이 시점에서 헬레니즘 시대의 삼자 구도가 형성되었다. 주요 강국은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의 마케도니아,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의 셀레우코스 제국이었다.
에피루스는 몰로시아의 아이아키데스 왕조가 통치하는 북서 그리스 왕국이었다. 에피루스의 피로스는 타렌툼을 지원하기 위해 남부 이탈리아를 침공했으나, 헤라클레아 전투와 아스쿨룸 전투에서 로마군에게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피로스의 승리"). 베네벤툼 전투 이후 피로스는 이탈리아에서 철수했다.
피로스는 마케도니아와 전쟁을 벌여 안티고노스 2세 곤나타스를 몰아내고 잠시 마케도니아와 테살리아를 통치했다. 이후 남부 그리스를 침공했으나, 아르고스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피로스 사후 에피루스는 약소국으로 전락했고, 에피루스 동맹이 수립되었으나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로마에 정복되었다.
로마 공화국의 부상으로 그리스 세계에 대한 로마의 간섭은 불가피했다. 로마는 이탈리아 남부 그리스 도시들을 복속시키고 시칠리아를 정복했다.[102] 제2차 포에니 전쟁 이후 로마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와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을 벌여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 승리했다.[104] 마케도니아는 주요 강대국 지위를 잃었다.[105]
페르세우스는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패배하여 왕국이 멸망하고 로마의 속주로 병합되었다.[105][106] 로마는 아카이아 동맹을 해산하고 코린토스를 파괴했다. 기원전 146년, 그리스 반도는 로마의 보호령이 되었다.[109]
아탈로스 3세는 페르가몬을 로마에 유증했다.[110] 폰토스 왕국의 미트리다테스 6세는 로마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에게 패배했다.[111][112]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는 그리스를 아카이아 속주로 병합했다.[113]
폼페이우스 대제는 셀레우코스 제국을 멸망시키고 시리아를 로마에 흡수했다.[110] 악티움 해전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 7세가 패배한 후,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는 이집트를 정복하여 헬레니즘 시대를 종식시켰다.[110][116]
19세기 학자들은 헬레니즘 시대를 고전 그리스 문화의 쇠퇴기로 보았으나, 현대에는 이러한 견해가 불공정하다고 여겨진다.[166] 그리스 폴리스의 쇠퇴와 군주 국가의 수립은 사회적 자유를 감소시켰을 수 있다.[168] 헬레니즘 시대에 대한 연구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러시아 혁명 이후, 자유주의의 관점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다.[169]
4. 헬레니즘 세계
위에서 설명한 네 개 주요 왕국 외에도 헬레니즘 시대에 그리스의 영향권은 더욱 넓었다. 그리스 본토 상당수와 도서지역은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을 때가 많았지만 최소한 명목상으로는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다. 마케도니아와 국경을 접한 에페이로스 왕국도 그리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중요한 헬레니즘 왕국이었다. 더 서쪽으로 가면 시칠리아와 마그나 그라이키아(이탈리아 남부)가 헬레니즘 초기 로마의 정복 전까지 독립을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로마에 그리스 문화가 수입되어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소아시아에는 非그리스 왕국이던 폰토스와 카파도키아가 있었는데, 직접 헬레니즘화되지는 않았지만, 그리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헬레니즘 세계에서 동쪽 변경에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이 셀레우코스 제국의 뒤를 이어 들어섰다. 기원전 2세기경 그리스-박트리아는 인도 북서부를 정복하여 인도-그리스 왕국을 세워 헬레니즘의 확산을 촉진했다.(달리 말하면 셀레우코스 왕조가 손을 놓고 있던 지역이었다.) 실로 인도-그리스 왕국은 유럽과 떨어져 거의 알려져 있진 않았고, 종국에는 "헬레니즘"이라 부를 수 없는 상태였지만 엄밀히 말해 최후의 헬레니즘 국가이다. 여담으로 1~3세기경 그리스의 헬레니즘 문화랑 인도의 불교문화가 결합하여 간다라 미술이 나타났고, 간다라 미술은 불상 조각 양식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었다.
5. 헬레니즘화
'''헬레니즘화'''(Hellenization)는 그리스 문화가 널리 퍼진 현상을 말하며, 이에 대한 여러 논쟁이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 헬레니즘 왕국들을 통해 그리스의 영향력이 퍼져나간 것은 분명하지만, 그 영향력의 범위나 이것이 의도적인 정책이었는지, 아니면 단순한 문화 전파의 결과였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알렉산드로스는 제국 전역에 그리스식 도시를 건설하고 그리스인과 페르시아인의 결혼을 장려하는 등 헬레니즘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그의 사후 이러한 정책은 대부분 거부되었다.[177] 그러나 그리스 식민자들의 이주와 새로운 도시 건설은 계속되었고, 이러한 도시들은 자연스럽게 문화 전파의 중심지가 되었다.
5. 1. 알렉산드로스의 헬레니즘화 정책
알렉산드로스는 제국 전역에 그리스식 도시를 건설하고 그리스인과 페르시아인의 결혼을 장려하는 등 헬레니즘화 정책을 추진했다.[177] 그는 페르시아 궁정의 요소를 도입하고, 그리스인에게 키스 의식(proskynesis)을 요구하는 등 두 문화를 융합하려 했다. 마케도니아인들은 이러한 행위가 신에게만 드리는 것이라며 분노했다.[177]알렉산드로스의 정책은 그리스 문화 확산에 기여했지만, 그의 과대 망상증의 결과라는 해석도 있다.[178] 그의 정책은 넓은 영토를 다스리기 위한 실용적인 수단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5. 2. 후계자들의 헬레니즘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그의 부하 장군들(디아도코이)은 제국을 분할하여 각자의 영토를 다스렸다. 이들은 알렉산드로스가 추진했던 문화적 변화를 대부분 거부했지만,[177] 그리스 식민자들의 이주와 새로운 도시 건설은 계속되었다. 이들 도시는 자연스럽게 문화 전파의 중심지가 되었고, 그리스 문화는 계속 확산되었다.후계자들은 처음에는 소극적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을 통치하기 위해 토착 문화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였다.[179] 예를 들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파라오로 묘사되기도 했다. 인도-그리스 왕국에서는 불교로 개종한 왕들도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배층 사이에서는 자연스럽게 혼합된 "헬레니즘적" 문화가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알렉산드로스의 정복과 후계자 왕국들은 그리스 식민화와 문화 전파를 이끌었지만, 이것이 의도적인 정책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헬레니즘화와 함께 아시아 문화가 유럽에 전해지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적 격변은 혼합된 "헬레니즘" 문화 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알렉산드리아와 같은 헬레니즘화된 도시들은 헬레니즘 세계에서 그리스 문화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6. 헬레니즘 이후
로마는 기원전 2세기와 1세기에 걸쳐 그리스를 점령했지만, 그리스 문화는 오히려 로마 문화를 압도했다.[113] 코이네 그리스어는 로마 제국 동부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는 계속 번영했다.[114][115] 로마 제국이 분열된 후, 동로마 제국에서는 그리스어권 지역과 주민이 중심이 되면서 헬레니즘 전통이 중요하게 여겨졌고, 이는 기독교와 융합하여 비잔틴 문화를 낳는 기반이 되었다.
7. 헬레니즘 문화
헬레니즘 문화는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되고, 그리스 내부 지역 간의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그리스 문화와 언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사업과 그 뒤를 이은 헬레니즘 왕국들의 식민지화 정책을 통해 근동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새롭게 건설된 도시들은 무역로에 위치하여 문화의 혼합과 확산을 촉진했다. 필리포스 2세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궁정과 군대에서 사용되던 아테네 그리스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코이네로 발전하여 헬레니즘 국가들의 공용어가 되었다. 그리스의 영향력과 언어 확산은 고대 그리스 주화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초상화는 더욱 사실적으로 변했고, 동전 앞면에는 사건을 기념하거나 신의 이미지를 담은 선전적인 이미지가 사용되었다. 그리스 양식의 초상화와 그리스어 사용은 로마 제국, 파르티아 제국, 쿠샨 제국에서도 계속되었지만, 그리스어 사용은 점차 감소했다.[119][120]
7. 1. 학문과 예술
헬레니즘 시대에는 그리스 문화가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헬레니즘 또는 친(親)헬레니즘적인 경향은 헬레니즘 왕국의 국경에 있는 대부분의 지역에까지 도달했다. 비록 이들 지역 중 일부는 그리스인이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엘리트가 통치하지 않았지만, 헬레니즘의 영향은 이 지역의 역사적 기록과 물질 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117][118]헬레니즘 문화는 특히 과거의 보존에서 번성했다. 헬레니즘 시대의 국가들은 과거와 잃어버린 듯한 영광에 깊이 몰두했다.[121]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등 3대 고전 비극 작가의 작품을 포함한 고전 및 고대 미술 작품과 문학 작품의 보존은 헬레니즘 그리스인들의 노력 덕분이다. 알렉산드리아 박물관과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이러한 보존 활동의 중심지였다. 왕실의 지원을 받아 알렉산드리아의 학자들은 발견할 수 있는 모든 책을 수집, 번역, 복사, 분류 및 비평했다. 헬레니즘 시대의 위대한 문학가 대부분이 알렉산드리아에서 공부하고 연구를 수행했다. 그들은 시인이자 학자였으며, 시뿐만 아니라 호메로스와 기타 고대 및 고전 그리스 문학에 대한 논문을 썼다.[122]
아테네는 특히 철학과 수사학 분야에서 상당한 도서관과 철학 학교를 갖춘, 최고 수준의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123] 알렉산드리아에는 기념비적인 박물관(연구 센터)과 약 7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있었다.[123] 페르가몬 시에도 대형 도서관이 있었고, 주요 서적 생산 중심지가 되었다.[123] 로도스 섬에는 도서관이 있었으며, 정치 및 외교 분야의 유명한 교육 기관을 자랑했다. 안티오크, 펠라, 코스에도 도서관이 있었다. 키케로는 아테네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로도스에서 교육을 받았다.[123]

헬레니즘 시대는 신희극의 부흥을 보았고, 살아남은 대표적인 텍스트는 메난드로스(기원전 342/341년 출생)의 작품이 몇 안 된다. 단 하나의 작품, ''Duskolos''가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다. 이 새로운 헬레니즘 풍속 희극의 줄거리는 더 가정적이고 정형화되었으며, 노예와 같은 전형적인 천한 신분의 인물들이 더 중요해지고, 언어는 구어체였으며, 주요 모티프는 도피주의, 결혼, 로맨스, 행운(튀케)을 포함했다.[136] 헬레니즘 비극은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없지만, 당시에도 널리 제작되었지만, 스타일에 큰 획기적인 변화는 없었고, 고전적인 모델을 유지했다. 현존하는 단편들을 모은 현대 컬렉션인 ''Supplementum Hellenisticum''에는 150명의 작가의 단편이 포함되어 있다.[137]

헬레니즘 시의 시인들은 이제 왕들의 후원을 구했고, 그들을 기리는 작품을 썼다. 알렉산드리아와 페르가몬의 도서관 학자들은 고전 아테네 작품과 고대 그리스 신화의 수집, 목록화, 문학 비평에 집중했다. 열렬한 엘리트주의자인 시인이자 비평가인 칼리마코스는 프톨레마이오스 2세를 제우스와 아폴론에 비유하는 찬가를 썼다. 그는 경구, 서사시, 이얌보스와 같은 짧은 시 형식을 장려하고 서사시를 저속하고 흔한 것으로 공격했다("큰 책은 큰 악"이 그의 교리였다).[138] 그는 또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소장품의 방대한 목록인 유명한 피나케스를 썼다. 칼리마코스는 그의 시대에 매우 영향력이 있었고 아우구스투스 시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 다른 시인인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는 그의 아르고나우티카를 통해 헬레니즘 세계를 위한 서사시를 부활시키려 했다. 그는 칼리마코스의 제자였으며 나중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prostates'')이 되었다. 아폴로니우스와 칼리마코스는 생애의 많은 시간을 서로 싸우며 보냈다. 전원시 또한 헬레니즘 시대에 번성했으며, 테오크리토스는 이 장르를 대중화시킨 주요 시인이었다.

헬레니즘 시대 동안, 많은 다양한 사상 학파가 발전했고, 이러한 헬레니즘 철학 학파들은 그리스와 로마의 지배 엘리트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여러 철학 학파가 있던 아테네는 철학적 사상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아테네는 이제 정치적 자유를 잃었고, 헬레니즘 철학은 이 새로운 어려운 시기를 반영한다. 이러한 정치적 환경에서 헬레니즘 철학자들은 가장 어려운 운명의 변화에서도 행복 또는 에우다이모니아를 얻을 수 있게 해주는 아타락시아 (평온), 자급자족 (자립), 그리고 아파테이아 (고통으로부터의 자유) 와 같은 목표를 추구했다. 내면의 삶, 개인적인 내적 자유, 그리고 에우다이모니아의 추구에 대한 이러한 몰두는 모든 헬레니즘 철학 학파가 공유하는 것이다.[139]
에피쿠로스 학파와 견유학파는 그리스 세계의 정의적 제도인 폴리스 자체를 거부하는 것과 같은 공직 및 시민 봉사를 피했다. 에피쿠로스는 원자론을 장려했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금욕주의를 장려했다. 퀴레네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는 쾌락주의를 받아들여 쾌락이 유일한 진정한 선이라고 주장했다. 시노페의 디오게네스와 같은 견유학자들은 부자연스럽고 쓸모없는 모든 물질적 소유물과 사회적 관습(''노모스'')을 거부했다. 키티움의 제논이 창시한 스토아 철학은 덕이 자연 또는 로고스에 따라 살 수 있게 해 주므로 에우다이모니아에 충분하다고 가르쳤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학파 (리케이온의 소요학파)와 플라톤 (아카데미의 플라톤주의) 역시 영향력을 유지했다. 이러한 교조적인 철학 학파에 반하여 피론주의 학파는 철학적 회의주의를 받아들였고, 아르케실라우스를 시작으로 플라톤의 아카데미 역시 아카데미 회의주의의 형태로 회의주의를 받아들였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은 이전 시대의 과학과 적어도 두 가지 면에서 달랐다. 첫째, 그리스 사상과 더 오래된 문명에서 발전한 사상의 상호 교류의 혜택을 받았다. 둘째, 어느 정도까지는 알렉산드로스의 후계자들이 세운 왕국에서 왕실 후원자들의 지원을 받았다. 헬레니즘 왕국 간의 문화적 경쟁은 지중해 전역에 걸쳐 학문적 중심지를 만들어냈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곳은 기원전 3세기에 주요 학문 중심지가 된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였다. 헬레니즘 학자들은 과학 연구에서 이전에 고대 그리스에서 개발된 원리, 즉 자연 현상에 대한 수학의 적용과 의도적인 경험적 연구 수행을 자주 사용했다.[141][142]
그리스 수학에서 헬레니즘 기하학자들은 테오도로스, 아르키타스, 테아이테토스, 에우독소스와 같은 이전 세대의 수학자들의 업적을 기반으로 했다. 서양 수학에서 19세기까지 가장 중요한 교과서가 된 유클리드의 ''원론''은 피타고라스 정리, 소수의 무한성, 다섯 개의 플라톤 다면체에 대한 증명을 제시했다.[143] 아르키메데스는 임의의 정확도로 문제를 풀기 위해 귀류법에 의존하는 기술을 사용했다. 소진법으로 알려진 아르키메데스는 이를 여러 저서에서 사용했는데, 예를 들어 π의 값을 근사하고 (''원의 측정'') 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밑변과 높이가 같은 삼각형 면적의 4/3배임을 증명하는 데 사용했다 (''포물선의 구적법'').[144][145] 헬레니즘 수학의 가장 특징적인 산물은 원뿔 곡선 이론으로, 아폴로니우스의 저작에서 가장 큰 성과를 거두었다.
정확 과학에서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고 지축의 기울기를 놀라운 정확도로 계산했다.[147] 그는 또한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고 윤일을 발명했을 수도 있다.[148] 에라토스테네스는 당시의 지리적 지식을 바탕으로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는 세계 지도를 그렸다. 또 다른 중요한 인물은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로, 바빌론 천문학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구의 세차 운동 현상을 발견했다. 또 다른 천문학자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지구, 태양, 달의 거리를 측정하고 지동설을 개발했다.
생명 과학 분야에서 의학은 히포크라테스 전통의 틀 안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프락사고라스는 혈액이 정맥을 통해 이동한다고 이론화했으며, 헤로필로스와 에라시스트라토스는 인간과 동물의 해부 및 생체 해부를 수행하여 신경계, 간 및 기타 주요 장기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공했다. 식물학 분야에서 테오프라스토스는 식물 분류에 대한 연구로 유명했으며 크라테우아스는 식물 약학에 대한 개요를 저술했다.

헬레니즘 시대의 회화나 조각 작품은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많은 로마 시대의 복제품들이 존재한다. 헬레니즘 조각의 경우, 라오콘과 아들들, 밀로의 비너스, 사모트라케의 니케를 포함한 몇몇 오리지널 작품들이 남아 있다.
헬레니즘 미술은 고전 그리스 미술의 이상적이고, 완벽하며, 차분하고, 절제된 인물상에서 사실주의와 감정(파토스) 및 인물(에토스)의 묘사가 지배하는 스타일로 전환되었다. 예술에서의 기만적으로 현실적인 자연주의(''알레테이아'') 모티프는 헬레니즘 이전의 화가인 제욱시스의 이야기에 반영되어 있다. 그는 포도를 너무나도 사실적으로 그려서 새들이 날아와서 쪼았다고 전해진다.[159] 여성 누드 또한 프락시텔레스의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로 대표되듯이 더욱 인기를 얻었으며, 일반적으로 예술은 더욱 에로틱해졌다(예: 레다와 백조와 스코파스의 포토스). 헬레니즘 미술의 지배적인 이상은 관능과 열정이었다.[160]
헬레니즘 시대의 예술은 모든 연령과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을 묘사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미지는 또한 중요한 예술적 주제였으며, 모든 디아도코이는 알렉산드로스의 젊은 모습을 모방하여 자신들을 묘사했다.
회화의 발전에는 제욱시스의 키아로스쿠로 실험과 풍경화 및 정물화의 발전이 포함되었다.[161] 헬레니즘 시대에 지어진 그리스 신전들은 일반적으로 고전 시대의 신전보다 컸다. 예를 들어,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사르디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디디마의 아폴론 신전(기원전 300년 셀레우코스에 의해 재건)이 있다. 왕궁(''바실레이온'') 또한 헬레니즘 시대에 그 자체로 등장했는데, 현존하는 최초의 예는 베르기나에 있는 카산드로스의 거대한 4세기 별장이다.
이 시대에는 또한 조각가이자 회화 및 조각의 역사가인 사모스의 두리스와 아테네의 크세노크라테스의 역사에서 최초의 미술사 저술이 등장했다.
7. 2. 종교
헬레니즘 시대에는 그리스 종교가 연속성을 보였다. 그리스 신들은 계속 숭배되었고 이전과 같은 의례가 행해졌다. 그러나 페르시아 제국 정복과 그리스인들의 해외 이주로 인한 사회 정치적 변화는 종교적 관행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달랐다. 아테네, 스파르타 등 그리스 본토의 대부분 도시들은 종교적 변화나 새로운 신을 거의 보지 못했지만,[129] 다민족 도시였던 알렉산드리아는 이집트, 유대교, 그리스 등 매우 다양한 신과 종교적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스 이주민들은 인도와 아프가니스탄까지 가는 곳마다 그리스 종교를 가져갔다. 비그리스인들도 지중해 전역에서 더 자유롭게 여행하고 교역할 수 있었으며, 이 시기에는 세라피스, 시리아 신인 아타르가티스와 하닷, 유대교 회당이 고전 그리스 신들과 나란히 델로스 섬에서 공존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130] 그리스 신을 유사한 특징을 가진 토착 신과 동일시하는 관행은 제우스-아몬, 아프로디테 하그네(헬레니즘화된 아타르가티스), 이시스-데메테르와 같은 새로운 융합을 만들었다. 그리스 이주민들은 숭배하는 신이 전통에 의해 좌우되었던 고향 도시에서는 직면하지 않았던 개인적인 종교적 선택에 직면했다.헬레니즘 군주제는 그들이 통치하는 왕국의 종교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이는 사제 직무를 수행했던 마케도니아 왕권의 특징이기도 했다.[131] 헬레니즘 왕들은 자신의 가문의 보호자로서 수호신을 채택하고 때로는 그들로부터 혈통을 주장했다. 예를 들어, 셀레우코스 왕조는 아폴론을, 안티고노스 왕조는 헤라클레스를,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디오니소스 등을 수호신으로 선택했다.[132]
왕조적 통치자 숭배도 이 시대의 특징이었으며, 특히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초기 파라오의 관행을 채택하고 스스로를 신왕으로 확립한 이집트에서 두드러졌다. 이러한 숭배는 알렉산드리아의 ''프톨레마이오이아''와 같은 통치자를 기리는 특정 사원과 관련이 있었으며 자체 축제와 연극 공연을 가졌다. 통치자 숭배는 신과 동등하게 만드는 (''동신론'') 신성한 본질에 대한 믿음보다는 왕에게 제공된 체계화된 영예 (제물, 프로스퀴네시스, 조상, 제단, 찬가)에 더 기반을 두었다. 피터 그린에 따르면, 이러한 숭배는 그리스인과 마케도니아인들 사이에서 통치자의 신성에 대한 진정한 믿음을 만들어내지 못했다.[133] 알렉산드로스 대왕 숭배도 인기가 있었으며, 에리트라이와 그의 무덤이 있던 알렉산드리아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전통 종교에 대한 환멸 또한 증가했다.[134] 철학과 과학의 부상은 신들을 천체의 움직임과 자연 재해에서의 역할과 같은 전통적인 영역에서 제거했다. 소피스트들은 인류 중심과 불가지론을 선포했고, 유헤메리즘 (신은 단순한 고대 왕과 영웅이라는 견해)이 인기를 얻었다. 에피쿠로스는 인간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메타코스미아에서 사는 무관심한 신에 대한 견해를 장려했다. 통치자들의 신격화는 신성의 개념을 지상으로 끌어내렸다. 종교성의 상당한 쇠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주로 교육받은 계층을 위한 것이었다.[135]
마법은 널리 행해졌으며, 이 또한 이전 시대부터 이어져 왔다. 헬레니즘 세계 전역에서 사람들은 신탁에 의존하고 불행을 막거나 주문을 걸기 위해 부적과 조각상을 사용했다. 이 시대에 점성술의 복잡한 체계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태양, 달, 행성의 움직임에서 사람의 성격과 미래를 결정하려 했다. 점성술은 이 시대에 인기가 높아진 튀케 (행운, 운) 숭배와 널리 연관되었다.
7. 3. 스포츠
헬레니즘 시대에는 여러 도시와 왕국에서 다양한 스포츠가 시행되고 장려되었다. 스포츠는 "헬레닉 자아상"의 주요 구성 요소로 문화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운동 경기에 참여하는 것은 고향이나 도시 국가를 대표하는 중요한 시민 자질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스포츠에 대한 헬레닉적 인식은 헬레니즘 세계 전반으로 확산되었다.[163]
사냥은 당시 마케도니아 왕과 귀족들이 가장 즐겨 하던 오락이자 그림의 소재였다. 이집트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 왕들이 새로운 운동 경기를 후원하고, 주요 경기에서 '이집트' 또는 '알렉산드리아' 운동 선수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했다.[164] 이집트 왕들은 또한 훈련 시설을 건설하는 데 자금을 제공하여, 에페비 교육을 실시하고 시민들이 체육관 수업에 참여하도록 장려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다른 헬레니즘 왕족들은 올림픽 또는 다른 파나테나이아 경기와 같은 운동 경기에 자주 참가했다.
헬레니즘 시대의 여성들은 종종 남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동 능력을 과시할 기회를 얻었다. 이집트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여성들이 궁정, 승마 경기로 잘 알려져 있었다. 여성은 남성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 및 행사를 관람하는 것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헬레니즘 제국에서는 여성 스포츠(특히 승마)가 번성했다. 2001년에 발견된 시들은 승마에서 18번의 다른 우승을 묘사했는데, 이러한 우승은 올림피아와 아테네와 같은 경기에서 이루어졌으며, 모두 왕실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우승 중 일부는 여성의 결과였으며, 헬레니즘 통치자들이 그리스 세계에 영향을 미치려 하면서 그들의 욕망과 자기 표현을 확인시켜 주었다.[165]
8. 한국과의 관련성
인도-그리스 왕국에서 발전한 간다라 미술은 불상 조각 양식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한국의 삼국시대 불교 미술에도 영향을 미쳤다.[99] 간다라 시대의 부처 표현은 헤라클레스의 보호를 받는 부처를 보여주는 등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은 모습을 보인다.[99] 이는 헬레니즘 문화가 동아시아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참조
[1]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WORLD HISTORY
[2]
웹사이트
Art of the Hellenistic Age and the Hellenistic Tradition.
http://www.metmuseum[...]
2013-05-27
[3]
웹사이트
Hellenistic Age.
https://www.britanni[...]
2013-05-27
[4]
웹사이트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http://www.penfield.[...]
2017-10-08
[5]
웹사이트
Hellenistic Civilization
http://mars.wnec.edu[...]
[6]
서적
Griechische Geschichte im Rahmen der Altertumsgeschichte
[7]
문서
Green 2008, pp. xv–xvii.
[8]
서적
Age of Conquests: The Greek World from Alexander to Hadria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
[9]
백과사전
Hellenistic Ag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09-08
[10]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Phoenix
[11]
백과사전
Law and archaeology: Modified Wigmorean Analys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8-20
[12]
서적
A companion to the Hellenistic world
Blackwell Publishing Lt
[13]
서적
A History of the Hellenistic World
Oxford
2008
[14]
웹사이트
Scribd Document
https://www.scribd.c[...]
2023-10-07
[15]
문서
"*(ellhnisth/s|Ἑλληνιστής|ref"
[16]
서적
Greek History: Hellenistic. Oxford Bibliographies Online Research Gui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Culture and Anarchy
Smith, Elder & Co.
[18]
서적
Culture and Anarchy
Oxford University Press
[19]
간행물
Duane W. Roller, Cleopatra. A Biography. (Women in Antiquity.) Oxford/New York/Auck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http://dx.doi.org/10[...]
2014-06-01
[20]
문서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SECOND EDITION, VOLUME VII, PART I: The Hellenistic World, p. 1.
[21]
서적
The Hellenistic World from Alexander to the Roman Conquest: A Selection of Ancient Sources in Translation
https://www.cambridg[...]
Higher Education fr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7-06
[22]
문서
Bury, p. 684.
[23]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Orion
[24]
문서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문서
Green, p. 9.
[26]
문서
Green, p. 14.
[27]
서적
Armies of the Hellenistic states 323 BC to AD 30: history, organization & equipment
Pen & Sword Military
[28]
문서
Green, pp. 30–31.
[29]
문서
Green, p. 126.
[30]
문서
Green, p. 129.
[31]
문서
Green, p. 134.
[32]
문서
Green, p. 199
[33]
문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Hellenistic World, 2007. p. 35
[34]
문서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p. 11.
[35]
문서
The Foreign Policy of Mithridates VI Eupator, King of Pontus, p. 17.
[36]
문서
Green, p. 139.
[37]
서적
Rhodes in the Hellenistic Age
Cornell University Press
[38]
서적
A Brief History of Ancient Greece: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6: The Fourth Century BC
[40]
서적
Dalmatia: research in the Roman province 1970–2001 : papers in honour of J.J
[41]
서적
The Illyrians: history and culture, History and Culture Series, The Illyrians: History and Culture
[42]
서적
The Illyrians (The Peoples of Europe)
[43]
문서
Carte de la Macédoine et du monde égéen vers 200 av. J.-C.
[44]
문서
Webber, Christopher; Odyrsian arms equipment and tactics.
[45]
서적
The Odrysian Kingdom of Thrace: Orpheus Unmasked (Oxford Monographs on Classical Archaeology)
[46]
서적
The Odrysian Kingdom of Thrace: Orpheus Unmasked (Oxford Monographs on Classical Archaeology)
[47]
서적
The Peloponnesian War: A Military Study (Warfare and History)
[48]
문서
Walbank et al. (2008), p. 394.
[49]
서적
The Diffusion of Classical Art in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50]
문서
'Celtic Inscriptions on Gaulish and British Coins' by Beale Poste
https://books.google[...]
[51]
문서
Momigliano, Arnaldo. Alien Wisdom: The Limits of Hellenization, pp. 54–55.
[52]
간행물
Delos, Carthage, Ampurias: the Housing of Three Mediterranean Trading Centres
L'Erma di Bretschneider (Accademia di Danimarca)
[53]
서적
Architecture of Spain
Greenwoood Press
[54]
간행물
Delos, Carthage, Ampurias: the Housing of Three Mediterranean Trading Centres
L'Erma di Bretschneider (Accademia di Danimarca)
[55]
서적
Architecture of Spain
Greenwoood Press
[56]
서적
Architecture of Spain
Greenwoood Press
[57]
간행물
Delos, Carthage, Ampurias: the Housing of Three Mediterranean Trading Centres
L'Erma di Bretschneider (Accademia di Danimarca)
[58]
문서
Green, p. 187
[59]
문서
Green, p. 190
[60]
서적
Rituals and power : the Roman imperial cult in Asia Minor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61]
문서
Green, p. 193.
[62]
문서
Green, p. 291.
[63]
서적
Provincial reactions to Roman imperialism: the aftermath of the Jewish revolt, A.D. 66-70, Parts 66-70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64]
서적
The Journal of Hellenic studies, Volumes 113-114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Hellenic Studies
[65]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Jewish History, Religion, and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서적
Syria, Lebanon, Jordan
Thames & Hudson
[67]
문서
Bugh, Glenn R. (editor).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Hellenistic World, 2007. p. 43.
[68]
서적
Western civilization: a history of European society
https://archive.org/[...]
Thomson Wadsworth
[69]
서적
Colonial education and class formation in early Judaism: a postcolonial reading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70]
문서
Britannica, Seleucid kingdom, 2008, O.Ed.
[7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Hellenistic World
2007
[72]
문서
Green
[73]
문서
Green
[74]
문서
Green
[75]
웹사이트
The Pergamon Altar
https://web.archive.[...]
Smarthistory at Khan Academy
2013-04-05
[76]
서적
Pergamum
[77]
문서
Shipley
2000
[78]
문서
Epitome of Pompeius Trogus
[79]
문서
Historical Commentary on Galatians
1997
[80]
서적
The Petra Pool-complex: A Hellenistic Paradeisos in the Nabataean Capital
[81]
웹사이트
Gods and Worship
http://nabataea.net/[...]
[82]
웹사이트
Discovery of ancient cave paintings in Petra stuns art scholars
https://www.theguard[...]
2010-08-21
[83]
서적
Histoire de l'Arménie
[84]
간행물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Arsacids
Cambridge UP
1983
[8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86]
문서
Green
[87]
문서
Green
[88]
문서
Green
[89]
웹사이트
Hanukkah
http://www.bbc.co.uk[...]
2014-12-17
[90]
웹사이트
The Maccabees and the Hellenists
http://www.slate.com[...]
Slate
2012-12-04
[91]
웹사이트
The Revolt of the Maccabees
http://www.simpletor[...]
Simpletoremember.com
2012-08-13
[92]
문서
Archelaus, King of Judaea
[93]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Mithridates VI Eupator, King of Pontus
E. J. Brill
[94]
웹사이트
Copper-Nickel coinage in Greco-Bactria
https://web.archive.[...]
2024-07-16
[95]
웹사이트
How China's Han Dynasty Got the Heavenly Horses to Create its Mighty Cavalry
https://www.labrujul[...]
2024-09-22
[96]
서적
Monnaies Gréco-Bactriennes et Indo-Grecques, Catalogue Raisonné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97]
서적
The Dynastic Arts of the Kusha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7
[98]
문서
Indo-Scythian coins and history. Volume IV
[99]
웹사이트
Cultural links between India and the Greco-Roman world
https://www.worldhis[...]
2011
[100]
웹사이트
Chapter XXIX
http://lakdiva.org/m[...]
[101]
문서
Mahabharata
[102]
간행물
Roman Conquest: Magna Graecia 350–270 BC
http://dx.doi.org/10[...]
Routledge
2024-07-15
[103]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Hellenistic Age
https://archive.org/[...]
Phoenix
[104]
논문
Tuvya Amsel, Practicing Polygraph, best practice guide,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North Charleston, 2017
2017-12-01
[105]
서적
Rome and the Third Macedonian War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9-29
[106]
서적
The Third Macedonian War and Battle of Pydna: Perseus' Neglect of Combined-arms Tactics and the Real Reasons for the Roman Victory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Military
2024-01-30
[107]
서적
Roman Conquests: Macedonia and Greece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0-03-10
[108]
서적
The Hellenistic World and the Coming of Ro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09-25
[109]
서적
Hellenistic and Roman Spart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9-23
[110]
서적
Rubicon: Triumph and Tragedy in the Roman Republic
Abacus
[111]
서적
The Poison King: The Life and Legend of Mithradates, Rome's Deadliest Enem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112]
서적
Empire of the Black Sea: The Rise and Fall of the Mithridatic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13]
서적
Taken at the Flood: The Roman Conquest of Gree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14]
서적
Hellenistic and Roman Spart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9-23
[115]
서적
Athens After Empire: A History from Alexander the Great to the Emperor Hadri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16]
서적
A History of the Hellenistic World: 323 - 30 BC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8-26
[117]
서적
The Early State
De Gruyter Mouton
1978
[118]
문서
The Scythie nations, down to the fall of the Western empire
[119]
문서
The Hellenistic West
[120]
문서
Dacia
[121]
문서
1990
[122]
문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Hellenistic World
2007
[123]
서적
The Library Of Alexandria: Centre Of Learning In The Ancient World
I.B. Tauris
[124]
문서
[125]
문서
[126]
문서
[127]
문서
[128]
문서
[129]
문서
[130]
문서
[131]
문서
2008
[132]
문서
2008
[133]
문서
[134]
문서
[135]
문서
[136]
문서
[137]
문서
[138]
문서
[139]
문서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140]
웹사이트
One of the Oldest Extant Diagrams from Euclid
http://www.math.ubc.[...]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8-09-26
[141]
학술지
Greek Science in its Hellenistic Phase
https://www.jstor.or[...]
1988
[142]
문서
Lloyd (1973), p. 177.
[143]
문서
Bugh, p. 245.
[144]
학술지
Archimedes and the Measurement of the Circle: A New Interpretation
https://www.jstor.or[...]
1976
[145]
학술지
Archimedes' Quadrature of the Parabola Revisited
https://www.jstor.or[...]
1998
[146]
학술지
The Chord Table of Hipparchus and the Early History of Greek Trigonometry
https://onlinelibrar[...]
1974
[147]
서적
The Forgotten Revolution
https://archive.org/[...]
Springer
2004
[148]
잡지
June 19, 240 B.C.E: The Earth Is Round, and It's This Big
https://www.wired.co[...]
2008-06-19
[14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Springer
[150]
학술지
The Epoch of the Constellations on the Farnese Atlas and Their Origin in Hipparchus's Lost Catalogue
http://www.phys.lsu.[...]
[151]
서적
Herons von Alexandria Druckwerke und Automatentheater
B.G. Teubner
1899
[152]
서적
The Hutchinson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Helicon Publishing
[153]
문서
Green, p. 467.
[154]
학술지
Decoding the ancient Greek astronomical calculator known as the Antikythera Mechanism
[155]
학술지
High tech from Ancient Greece
[156]
서적
The Unwritten Philosophy and Other Essays
[157]
서적
The Forgotten Revolution: How Science Was Born in 300 BC and Why It Had To Be Reborn
Springer
[158]
문서
Bugh, p. 285.
[159]
문서
Green, Peter;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p. 92.
[160]
문서
Green, p. 342.
[161]
문서
Green, Peter;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pp. 117–118.
[162]
문서
Pliny the Elder, Natural History (XXXIV, 52)
[163]
문서
Christian Mann, Sofie Remijsen, Sebastian Scharff, Athletics in the Hellenistic World. Stuttgart: Franz Steiner Verlag, 2016.
[16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ports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6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ports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66]
문서
Green, p. xv.
[167]
문서
Herodotus (Holland, T. Persian Fire, p. 193.)
[168]
문서
Green.
[169]
서적
The Hellenistic Age (A Short History)
Modern Library Chronicles
[170]
문서
"The mixture of Roman, Greek, and Jewish elements admirably adapted Antioch for the great part it played in the early history of Christianity. The city was the cradle of the church." — "Antioch," Encyclopaedia Biblica, Vol. I, p. 186 (p. 125 of 612 in online .pdf file).
[171]
문서
Green, p. xvii.
[172]
웹사이트
Professor Gerhard Rempel, Hellenistic Civilization (Western New England College)
http://mars.wnec.edu[...]
2008-07-05
[173]
서적
[174]
문서
Green, pp. x, xiv.
[175]
문서
Green, p. 20.
[176]
문서
Green
[177]
문서
Green
[178]
문서
Green
[179]
문서
Green
[180]
문서
Green
[181]
서적
Persian Fire
[182]
문서
Green
[183]
서적
The Library Of Alexandria: Centre Of Learning In The Ancient World
I.B. Tauri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